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

IR52 장영실상 로고

  • 장영실상 소개
  • 신청/접수
  • 심사안내
  • 시상/수상제품
  • 뉴스/정보
  • 개요
    과학자 장영실
    신청안내
    제출서류
    작성방법
    온라인 신청
    예비심사
    본심사
    최우수심사
    시상개요
    금주의 수상제품
    제품검색
    제품통계
    공지사항
    보도자료
    Q&A
Quick
온라인 신청하기
신청/수상내역기
  • 뉴스/정보

    공지사항
    보도자료
    Q&A
    IR52 장영실상 수상제품
    ▶20 주차 수상제품
    • 제품사진
    • 퍼즐에이아이

    • 음성AI 기반 생성형 의무기록 통합 솔루션

      자세히보기
    홈 > 뉴스/정보 > 보도자료

    보도자료

    게시판 글읽기
    제목 [제22주 IR52 장영실상] 엔젯/ `정전기력 기반 나노프린터` (매일경제 보도)
    등록일 2013-06-05
    내용
     기사의 0번째 이미지

    왼쪽부터 부닷귀엔 연구소장, 호앙뉘엔 주임연구원, 장용희 주임연구원.




    벤처기업 엔젯이 개발한 `정전기력 기반 나노 프린터(eNano Printer)`가 2013년 제22주차 IR52 장영실상을 수상했다.

    이 제품은 정전기력(electrostatic forceㆍ전기장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) 기술을 이용해 기존 사무실의 잉크젯 프린터보다 1000배, 산업용 프린터보다 30배 더 미세하게 인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. 정전기력 기술을 이용한 프린터 개발은 국내 최초인 것으로 알려졌다.

    이 제품은 △고정밀 △고점도 △3차원 표면 인쇄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. 일반 잉크젯 프린터 점성도는 10~30cP(점성도 단위)에 불과하지만 나노 프린터는 10~5만cP로 광범위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. 점도가 높으면 저항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어 터치 스크린이나 반도체 공정 등에 주로 사용된다.

    또 기존 기술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1㎛(마이크로미터ㆍ1㎛는 100만분의 1m) 수준까지 고정밀 인쇄가 가능해 디스플레이 전극공정, 박막공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. 특히 나노 프린터에 노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더해 3차원 표면에도 프린팅이 가능하다. 이에 따라 차세대 기술로 꼽히는 3차원 인쇄기술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.

    이 회사의 장용희 주임연구원은 "이 제품은 아주 미세한 선을 긋는 패터닝(patterning) 작업뿐 아니라 제품 전체를 코팅하는 작업까지 가능하다"면서 "디스플레이ㆍ반도체ㆍ태양전지ㆍ터치패널ㆍ센서 등 전도성 및 비전도성 물질을 빠르고 정밀하게 프린팅할 수 있다"고 말했다.

    장 연구원은 "기존 반도체 공정에서는 마스크나 화학 작용을 통해 온도와 압력을 조정했는데 이 제품을 이용하면 곧바로 프린팅 기술로 공정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요소까지 갖췄다"고 덧붙였다.

    엔젯은 이번 제품 개발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시장점유율 50%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 회사 측은 "올해 매출이 3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"며 "앞으로 전자제품에 응용되면 제품 가격 절감까지 기대할 수 있어 경제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"이라고 밝혔다.

    ■ 주최 : 매일경제신문사·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

    ■ 후원 : 미래창조과학부

    [김미연 기자]

    목록
산기협카카오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매일경제 MBN NET 신기술인증 이달의 엔지니어상 1379 nep
    개인정보취급방침
  • 우 06744   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37길 37 (양재동 20-17) 산기협회관       TEL  02-3460-9020       FAX  02-3460-9029 본 사이트에 
        	게시된 이메일 주소의 자동수집을 거부하며,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        	 (c)  Copyright Korea Industrial Technology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. E-mail : bomi@koita.or.kr